준비된 신체의 각 부위를 표정을 살려가며 조립한다. 먼저 다리에 발을 붙이는데, 왼쪽 부분처럼 표정없이 붙이고 그리는 아이들에게 뒤쪽에서 지지할 때 발의 모습과 앞으로 쭉 내 뻗을 때의 발의 모습을 아이들과 함께 직접 걸음걸이를 관찰하는 과정에서 찾아내고 표현할 수 있도록 한다. 

 

  다음에 눈과 눈알을 붙인다. 이 작업의 재료를 준비하면서 굳이 앞뒤의 색이 다른 백표지를 고집한 것은 신체 각 부위를 조립할 때 종이의 앞면과 뒷면을 적절하게 조절해서 사용하면 표정과 움직임을 표현하기가 훨씬 용이하다는 점에서 였는데, 눈과 눈알의 색을 서로 다르게 조립하여 표정을 쉽게 확인하는 과정에서 재미를 더 할수 있도록 한다. 눈 위에 눈알을 옮겨가며 표정을 만들어 보는데, 교사는 미리 준비한 신체의 각 부위 뒷면에 미리 자석을 붙여두면 칠판에 부착하여 표정 놀이를 할 때 유용하다.

  아래 그림의 오른 쪽 처럼 눈알의 위치를 정중앙에서 한 쪽으로 치우치게 붙이면 눈을 여러 방향으로 돌려서 바라보는 방향을 바꿀 수도 있다는 것을 직접 시범으로 보여주어 흥미를 돋운다. 

    

  완성된 눈을 얼굴에 붙일 때도 같은 방법으로 얼굴의 중앙에 나란히 붙이는 것보다 얼굴 한 쪽으로 치우치게 붙여서 표정을 나타내는데 교사의 과장된 표현이 아이들의 활동에 도움을 주기도 했다.

    

  아래의 그림은 하나의 작품이지만 돌리고 위치를 바꾸었을 때 표정과 바라보는 방향이 서로 다른 모습으로 바뀌는 것을 볼수 있다.

    

  충분한 표정 놀이로 아이들의 표현 욕구를 자극할 수 있는 시간이 주어질수록 다양하고 재미있는 동작과 표정이 표현되어 동세와 운동감, 표정 표현 지도에 유용한 시간이 될 수 있다.

 

 

Posted by Duny

  원하는 표정을 표현한 후 귀를 붙일 때, 원의 테두리에 나란히 붙이려는 경향이 두드러진다. 그림과 같이 양쪽 귀가 서로 종이의 반대편에 붙여져야 하는 것을 친구들 귀를 관찰하면서 이해하도록 하고 귀 끝의 방향을 통해 귀의 표정을 바꿔보도록 한다.  

 네개의 다리 역시 표정과 동작성을 표현할 수 있는데, 몸통을 중심으로 좌우(안팎)에 맞대어 한쌍씩 붙여야 한다는 것도 이해시킨다.

    

 그림과 같이 몸통에 머리의 방향을 바꿔가며 얼짱사자의 감정과 행동을 표현해 보도록 한다.

    

      

      

          

 

Posted by Duny

  보석같은 자투리 종이 조각들을 잘 모아 두었다면 그것들의 효력을 발휘할 때다. 내가 만든 녀석이 얼짱사자가 돨 지, 고양이나 강아지가 될 지는 자투리 종이조각들로 어떻게 꾸미느냐에 달려 있는데, 난 늘 얼짱사자를 고집한다.

    

  아이들의 작품이다. 어미에서 새끼, 그리고 아이들이 이름 지어준 '또 새끼'까지 8절 도화지 한 장에서 나와싸는 사실에 아이들은 놀라기도 한다.

      

     

   그렇다면 2시간의 미술 수업이 끝난 후 쓰레기통에는 반 전체 아이들의 쓰레기를 모아도 한줌도 안되는 작은 조각 들뿐이다. 

    

 

 

 

Posted by Duny

  종이 한 장의 미학에서 아이들이 가장 흥미로워 하는 것은 한장의 종이에서 만들어지는 얼짱사자의 크기와 매 시간 전개되는 원 만들기, 표정 만들기, 동작 만들기의 작업도 있지만 무엇보다 아이들의 호기심을 자극햇던 것은 새'끼 사자' 만들기와 그들이 명명한 '또 새끼', 그리고 가능하지 않을거라고 생각했던 '또 또 새끼'를 만들어 낼수 있다는 것이었다. 실제로 몇몇 아이들이 '또 또 새끼'까지 만들어 오기도 했다.

  8절 도화지를 4등분하여 세 조각으로 사자 한 마리를 만들고 남은 4분의 1조각은 새끼사자가 되는데, 새끼사자 만들기는 확인학습을 위해 반드시 거쳐야 할 학습 과정이다. 새끼사자를 만들고 난 4분의 1조각은 '또새 끼' 이런 과정을 거치면  이론상으로 한 없이 새끼를 치게 된다는 사실이 아이들의 흥미를 자아내기도 했다. 

  여러분도 여러분의 한계에 도전해보길 바란다. '또또또새끼'까지....   

Posted by Duny

  종이 한 장의 미학으로 얼짱사자란 이름으로 포유류의 틀을 마련하고 우리와 친근한 조류를 재단하는 과정으로 스스로 도화지를 등분하여 사용할 수 있는 능력을 키워주고 싶어서 만든 것이 다음에 소개될 조류 도면이다.

  조류 역시 각 부위별 크기나 형태를 고려하여 가장 큰 부위부터 잘라나가도록 한다. 몸통, 머리, 팔대신 날개, 다리, 눈, 부리 등의 작은 부위까지 종이 한 장으로 만들기 위해서 각 부위별 크기의 순서로 재단하는 것이 요령이며 신체의 가장 큰 부위인 몸통을 가장 먼저 재단하도록 한다.

 다음 도면을 참고하여 직접 만들어 보도록 하자

Posted by Duny

3월 중순은 새 학년 새 교실에서 새로운 친구들에게 아직 익숙해 지기도 전에 낯선 그들 가운데 선출된 학급임원을 중심으로 학급 규칙, 1인1역 등 각 자에게 주어진 역할을 수행하며 서로에 대한 탐색전으로 저마다 긴장과 시행착오를 경험랑 시기였다.

  때마침 학교에서는 친구 사랑 주간 행사가 계획되어 있었고 '새롭게 피어나는 서체'란 주제의 미술 수업에 친구에게 응원의 메세지 보내기 활동으로 소통하고 협력할 기회를 주고 싶었다.

  먼지 자신만의 서체를 만들기 위해서 한글에서 사용할 수 있는 각 종의 서체를 소개 합니다. 서체가 어떻게 만들어지고 있고 개발된 서체는 어떻게 활용되는지도 팁으로 주어 자신 만의 서체만들기에 열정을 불어 넣습니다.  

  반 아이들의 이름을 흔하게 쓰지 않는 여러가지 서체로 변형하여 입력한 후 나누어줍니다. 마음에 드는 서체를 선택한 후 기존의 서체를 변형하여 자신만의 서체를 만듭니다.

   더하고......

   빼고......

   뒤틀고......

   붙이고......

   나누어서......

자신만의 서체는 이렇게 만들어 졌습니다.

     

    

 

  모둠별로 친구를 위해 힘이 되는 응원의 메세지를 하나씩 만들도록 합니다.

 

 

 

  "우리 끝까지 참고 힘내자."

  "괜찮아 다 잘 될거야."

  "넌, 역시 최고야!"

  "난 무조건 널 믿어!"

  "내 곁엔 항상 내가 있어."

 

  힘이 되는 문장의 글자를 모둠원들이 나누어 4등분하여 나누어 준 A4용지에 한 글자씩 자신만의 서체로 쓰고, 같은 크기로 자른 OHP용지에 그대로 베껴 쓰게 합니다.

 

     

    

 

OHP용지 베껴 쓴 글자를 자신만의 색채로 꾸미도록 합니다.

 

-인디자료에서 퍼옴-

 

 

      

     

    

 

 모둠별로 완성된 문장을 나열하여 창문을 장식합니다.

 

    

 

 

Posted by Dun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