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생님, 망쳤어요. 종이 다시 주시면 안돼요?’ 그리기나 만들기 시간에 한번쯤은 들었던 익숙한 소리일 것이다. 배고픈 사자는 이렇게 탄생했다.

  잔뜩 겁먹은 표정으로 내게 내민 종이는 가운데 부분이 움푹 파여 있었다. 새 종이가 없어서 그런 것은 아니었다. 종종 잘못 그어진 선이나 잘못 잘라진 종이를 바꿔줘야만 작업을 계속하는 아이들이 있다. 괜찮다고 말해도 아이의 눈에 괜찮지 않다고 느끼면 아이는 그들의 불행을 새로운 종이로만 치유될 수 있다고 생각하는 모양이다. 그리고 아이의 불행을 맘 아파하는 선생님들은 서슴치 않고 새 종이로 아이의 마음을 달래고 달래진 아이의 마음이 남긴 멋진 작품으 기대하기도 한다.

  하지만 내 시간에 서툰 가위질로 망친 종이는 나와 이 사자를 한 번쯤 만들어 본 여러분들에게 값진 선물이 되었다.

  나는 짓궂게도 아이가 망쳤다고 가지고 나온 종이의 움푹 파인 부분을 거침없이 더 크게 잘라냈고 놀란 듯 더 커진 아이의 눈은

  ‘지금, 이 선생님이 무슨 짓을 하시는 건가?’

라는 물음과 함께 이어질 꾸짖음에 대비하듯 잔뜩 움츠려 있었다.

  아이의 마음을 눈치 챈 나는 아이를 향해 짓궂은 표정을 지어 보이며 너스레를 떨었다.

  ‘얘도 나처럼 배가 고픈가 봐. 선생님도 배가 고파서 배가 쏙 들어 갔는데......’

  4교시 수업을 막 시작한 터라 그랬는지, 이 말이 끝나자 정말 시장 끼가 느껴졌고 나와 아이들 모두 , 배고프다.’를 외치며 우리가 느끼는 배고픔의 크기만큼 사자 몸통의 가운데 부분을 잘라냈다. 이렇게 아이의 망친 몸통 덕분에 우리의 얼짱사자는 날씬한 허리 라인과 함께 멋진 꼬리도 갖게 되었다.

   

 

Posted by Duny